정보처리기사

럼바우(Rumbaugh)) 분석기법

눌딩 2025. 2. 27. 15:26
  •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-> 그래픽 표기법
  • 모델링 기법 중 하나로 그래픽으로 이를 표현한 분석 기법 입니다.
  • 같은 말로 “객체 모델링 기법”, “OMT” 그리고 “Object Modeling Technique” 라고도 칭합니다.
  • 분석은 3 단계로 이뤄집니다.
    객체 모델링 -> 동적 모델링 -> 기능 모델링

 

 

자료 흐름도 (Data Flow Diagram)


  • 자료 흐름, 처리과정을 도형으로 작성한 다이아그램입니다.
  • 자료 흐름 그래프 버블 차트 라고 칭합니다.
  • 자료가 처리될 때마다(연산 혹은 저장.등등) 새로운 이름을 부여합니다.
  • 자료흐름도의 최하위 처리(Process)는 소단위 명세서를 갖습니다. (아마 RowData를 뜻하는 것 같네요. 그런 것들에게는 명칭이 있어야 함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.)
  • 어떤 처리(process)를 하기 위해서 입력 데이터가 있을 떄만 결과 데이터가 있습니다.(어찌보면 당연한말)
  • 배경도(content diagram) 에는 명칭과 번호를 부혀여하지 않습니다.
  • 자료흐름도 기호입니다.

    (출처 : 럼바우 분석 기법(Rumbaugh) / 자료흐름도, 자료 사전)
  • 자료흐름도 예시입니다.

    (출처: 럼바우 분석 기법(Rumbaugh) / 자료흐름도, 자료 사전)

 

 

자료 사전 (DD, Data Dictionary)

  • 자료흐름도의 자료를 설명하는 사전입니다.
  • 자료흐름도의 자료를 설명한다는 것이 무언가 “좀더 추상화된” 혹은 “상위개념” 느낌이 있지 않나요? 원래 메타인지라는 말이 인지의 위에서 인지하는 것을 바라보는 걸 뜻하는 용어처럼 여기서도
    메타 데이터 라고 칭합니다.
   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이죠.
  • 기호

= : ~로 구성되다; is composed of
+ : and; 자료를 연결
{ } : 반복; iteration of
[ | ] : OR; choose only one of
( ) : 생략; optional
* * : 주석; comment